본문 바로가기

신화의 땅, 제주도

제주도 해안 트래킹의 명소 '질지슴,용문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박수물

제주도 여행 마지막날 하예동을 찾았다. 예래생태마을로 유명한 이곳을 찾은 이유는 제주도 해안을 가장 가까이 걸을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날 비가 억수같이 쏟아졌다. 전날 강행군을 하여 지친 나머지 일기예보를 듣지 못하여 낭패를 당한 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는 수 없이 차로 이 해안길을 순례하기로 하였다. 이 코스는 요즈음 제주'올레'코스로 하나둘 알려지기 시작한 길이다. 박수물, 진황등대, 큰코지, 질지슴, 작은코지, 용문덕, 논짓물, 색달해안 갯깍주상절리대로 이어지는 길을 잡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큰코지와 진황등대

예례동에 얽힌 이야기가 하나 있다. 옛날 한 고승이 이곳을 지나가다 바다에 우뚝 솟은 섬(범섬)을 보니 범의 형상이어서 마을에 화를 가져올 것이라 여겨 예래 마을 뒤쪽의 오름인 군산(軍山)을 사자(獅子)로  칭하여 범과 대항할 사자가 온다는 의미로 예래(猊來)라 하였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질지슴과 작은코지

박수물에 도착하니 비바람이 더욱 세졌다. 해녀들도 물밖으로 나와 철수를 하기 시작하였다. 바람이 드세어 몇 번을 포기할려 했으나 특유의 오기가 발동하여 끝까지 여행을 마치기로 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수십미터에 달하는 해안절벽과 울창한 수림이 장관인 박수물을 지나니 하예포구다. 큰코지라 불리는 곳에 진황등대가 우뚝 서 있다. 고개를 넘어가자 주상절리와 검은 자갈돌이 해변을 채우고 있는 '질지슴'이다. 마을 주민한테 '질지슴'의 유래에 대해 물으니 '길(질)을 질러 간다'는 뜻인 것 같다고 하였으나 그 분도 잘은 모르겠다고 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닷가 초소 곁에는 무덤 한 기가 바다를 바라보고 있다. 제주도 특유의 돌담으로 둘러싸인 무덤은 거센 비바람에도 평온해 보인다. 큰코지에 있는 할망당(해녀당)을 찾으려고 이리저리 헤매다 폭우와 강풍에 결국 포기하고 말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용문덕

반달처럼 둥글게 포곡선을 그린 해안 양끝에 큰코지와 작은코지가 있다. 작은 코지에는 기기묘묘한 바위에 화산석들이 삐죽삐죽 솟아나 있어 한 편의 바위 작품을 보는 것만 같다. 해안초소 바로 앞에 솟은 두 바위 사이로 파도가 밀어친다. '용문덕'이다. 바다에서 하늘로 승천하던 용이 지나가던 문턱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바위 사이의 통로로 용이 지나갔을 법하게 틈이 벌어져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렌즈에도 비가 몰아치기 시작하였다. 바람에 우산이 날려가기도 몇 번, 아예 우산을 버리고 길에 섰다. 한 샷 하고 렌즈 한 번 닦는 것을 반복하는 것 외에는 도리가 없었다. 멀리 비바람속에 횟집 하나가 보인다. 잠시 비를 피하려 처마 밑에 숨어 들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환해장성유적의 일부로 보이는 돌무지가 보인다. 우의를 입은 한 무리의 순례자들이 지나간다. 아마 중문단지를 거쳐 이곳의 '올레'길을 걷고 있으리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얼핏 보기에 돌담으로 보이는 환해장성을 따라 걷는 이 해안길을 그들은 만족해하리라. 비만 오지 않는다면 '논짓물'에 발이라도 담그고 가면 좋으련만. 아쉬움이 밀려 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예래동은 물이 귀한 제주도에서 용천수가 풍부하여 논농사를 하기에 적합한 곳이었다. 거슨물, 대왕수(큰이물), 소왕수, 조명물, 남바치, 차귀물, 돔벵이물, 논짓물 등 용천수가 해안 곳곳에 솟아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논짓물

박수물에서 시작된 여로는 갯깍다리에서 일단 쉼을 하였다. 예래천이 흐르는 이곳은 2002년 6월에 반딧불이 보호구역 제1호로 지정되었다. 서부하수처리장에서 잠시 비를 피한 뒤 마지막 여정인 '갯깍주상절리대'로 향했다.

색달해안 갯깍주상절리대 보러 가기 (http://bloggernews.media.daum.net/news/1386348)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갯깍주상절리대와 중문단지

스크랩 하러 가기 (http://blog.daum.net/jong5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