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여행/또 하나의 일상

설날, 절구에 직접 찧어 만든 인절미


설날, 절구에 직접 찧어 만든 인절미


설이 되어 고향을 찾았습니다. 조용하던 시골마을이 고향을 찾은 이들로 번잡합니다.
팔순을 앞둔 노모가 인절미를 만들자고 합니다. 매년 방앗간에서 떡을 하시더니만 올해는 찹쌀싸라기(쌀의 부스러기)가 많아 절구에 찧어 떡을 만들어야겠다고 합니다.


오랫만에 절구로 인절미를 만들어 봅니다. 어릴적 두부나 묵, 한과도 집에서 직접 만들었습니다. 기계식 방앗간이 생기고 난 후론 손이 많이 가는 이전의 방식은 사라졌습니다. 시골집을 개량하면서 옛날에 쓰던 무쇠솥과 가마솥을 어미니는 그대로 두었습니다. 음식을 할 때 꼭 필요하다는 이유에서였죠.


찹쌀을 솥에 넣고 불을 지핍니다. 한 번 김이 나고 나면 다시 불을 땝니다. 밥을 뜸들이는 것보다는 약간 긴 시간이 소요된 듯 합니다. 찹쌀을 쪄야 하기 때문이죠. 찹쌀이 적당히 익을 때까지 절구의 이물질과 먼지를 깨끗이 청소합니다.


다 찐 찹쌀을 절구에 옮깁니다. 절구에 찹쌀을 담은 후 떡메로 찧습니다. 장성한 조카가 떡메를 치는 사이사이 어머니는 떡메를 피해 찹쌀을 능숙하게 뒤집습니다. 찹쌀을 골고루 찧기 위해서죠. 떡메에도 찹쌀이 달라붙지 않도록 물로 연신 씻어 냅니다.


떡을 찧을 때에는 일자로 된 절굿공이보다 T자형의 떡메가 훨씬 낫습니다. 내리치는 힘이 월등하게 강하기 때문이죠.


사진만 찍는다고 작은 형이 타박을 합니다. 무안하기도 하여 조카에게 떡메를 빼앗아 힘껏 내리쳤습니다. 이번에는 어머니께서 한말씀 거드십니다. "역시, 소리가 다르네." 괜스레 기분이 우쭐해집니다. 일에 있어 때론 힘보다 요령이 중요한 법이지요. 떡메의 소리가 "떡! 떡!"하는 창창한 소리가 들려야 제대로 찧고 있는 것입니다.


다 찧은 떡반죽을 고무대야에 옮기기 전에 콩고물(가루)을 바닥에 깝니다. 접착성이 좋은 떡반죽이 달라붙지 않기 위해서죠. 골고루 깐 콩고물 위에 떡반죽을 평평히 펴고 다시 콩고물을 입힙니다.




마루에서 본격적으로 떡을 만드는 작업이 시작됩니다. 적당한 크기를 가늠한 뒤 칼로 잘라냅니다.


잘라낸 떡반죽에 다시 콩고물을 입히고 손으로 모양을 다듬습니다. 조금 못생긴 떡의 양 끝은 칼로 미련없이 잘라냅니다. 이 못생긴 조각은 구경꾼에게 돌아가고 미끈한 놈들은 차례상에 올라갑니다.


차례상에 올라가는 떡은 잘게 썰지 않습니다. 다만 손님 접대용만 먹기 좋게 잘게 썹니다.


절구에 직접 찧어 만든 인절미 맛은 어떨까요. 찰진 정도는 방앗간에서 만든 인절미가 낫습니다. 대신 직접 찧어 만든 인절미는 씹히는 맛이 좋습니다. 게다가 이에 잘 달라붙지 않았습니다. 평소 떡을 좋아하면서도 이에 달라붙어 인절미 먹기를 주저했었는데, 이번에는 양껏 먹었습니다.


Daum 블로그(http://blog.daum.net/jong5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