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화장실로 불리는 우리네의 뒷간은 여러 가지 이름이 있었다. 우리의 전통 뒷간은 대개 똥을 직접 퍼내는 수거식(푸세식)이었다. 뒷간, 통시, 잿간, 정낭, 정방, 북수간, 해우소, 변소, 측간, 매화틀 등이 화장실의 다른 이름들이다. 수거식이면서 으슥한 뒷쪽에 있어 뒷간, 아궁이의 재를 이용하는 잿간. 절의 언덕배기 공간을 활용한 해우소, 인분을 먹는 돼지와 공존하는 통시, 북쪽에 있다 하여 북수간, 밀물을 이용한 측간 등이 있었다. 임금의 똥을 매화라 하고 그 변기를 매화틀이라고도 하였다.
우리네 전통 뒷간에서 나오는 똥은 주로 거름으로 재활용되었다. 거름을 만들기 위해 통풍이 잘 되게 하였으며, 쌀겨나 풀, 짚, 재 등을 이용하여 발효와 숙성을 시켜 농사에 알맞도록 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축의 먹이로도 사용되었으니 그것이 바로 사라질 처지에 있는 '똥돼지'이다. 우리네 뒷간은 한마디로 생태적, 친환경적이다.
# 제주도 흑돼지와 뒷간-제주도 민속촌박물관 사진 제공
통시라고 하는 제주도 재래식 뒷간은 대개 지붕이 없다. 돼지우리와 통시 주위를 돌로 낮게 울타리를 둘러 쌓고, 돼지 우리의 한 쪽에 돌로 높이 단을 쌓아 그 위에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넓은 돌 두 개를 올려 놓았다.
이곳에 사람이 올라 볼일을 보면 돼지가 그 아래로 왔다 갔다 하면서 똥을 집어 먹는다.
지금은 제주도 통시는 거의 사라진지 오래이고 실제로 인분을 먹여서 키우는 똥돼지도 없다.
다만 민속촌 등에 가면 전시용으로 재래식 뒷간을 복원하여 돼지를 키우는 모습을 볼 수있다.
# 지리산 마천면 도마마을 한평호씨댁 똥돼지 뒷간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똥돼지를 볼 수 있는 곳이 지리산 마천면 일대이다. 여행자는 똥돼지가 있다는 지리산 산마을을 둘러 보았으나 그것은 소문일 뿐 찾기가 어려웠다. 대여섯 마을을 헤매다가 도마마을에서 겨우 똥돼지와 뒷간을 찾을 수 있었다. 부엌 한켠에 자리잡은 뒷간은 금방이라도 쓰러질 듯 하였지만 볼일도 볼 수 있고 아직도 똥을 먹는 똥돼지가 있었다. 대가족인 예전에 비해 인분이 부족하다 보니 쌀겨나 음식찌꺼기를 먹이기도 한다. 그래도 일반사료를 먹이지 않는데다 공기 좋고 물 맑은 지리산에서 키우니 고기맛은 남다를 수 밖에 없다. 사료를 먹이는 일반돼지에 비해 육질이 쫄깃쫄깃하다고 한다. 이 똥돼지도 경제성이 없어 키우는 농가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안타깝다.
# 2층의 뒷간에서 똥을 누면 아래에 있는 돼지가 넙죽 받아 먹는다.
나무를 얼기설기 걸쳐 놓은 뒷간이다. 나무판자를 댄 계단을 올라가서 쪼그려 앉아 볼일을 본다.
여기서 똥을 누면 돼지가 점프를 하여 받아 먹는다.
처음 똥을 누는 사람은 마치 돼지가 자기한테 뛰어 오르는 줄 알고 기겁을 한다.
# 선암사 해우소 남, 여 화장실을 좌우로 구분하였는데, 우리의 옛 화장실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구조이다.
화장실 안을 들어 서면 두 줄로 볼일 보는 곳이 나누어져 있다.
제법 너른 공간에 변기 안을 들여다 보니 아래가 까마득하다. 떨어지면 조금은 찝찝한 극락행이 될 것 같다.
우리의 사찰 해우소 중 가장 으뜸은 단연 선암사 해우소이다. 유일하게 문화재로 등록된 아름다운 절집 뒷간이다. 해우소는 경사진 언덕을 지혜롭게 이용하여 상, 하층의 2층으로 된 건물이다. 여느 사찰의 해우소보다 그 건축미가 단연 돋보인다. 'ㅅ간뒤(뒷간)'라고 쓰여진 화장실을 거꾸로 읽으면 우스갯소리로 엉덩이를 '깐뒤'가 된다. 정丁자 모양의 맞배지붕으로 지어진 이 건물은 옆에서 보면 팔八자 모양이다. 바람을 막기 위한 풍판도 설치되어 있어 화장실의 품격을 한층 높여준다. 바닥을 잘 다듬은 나무 판자를 우물 정자로 깔았다.
군더더기 하나 없이 깔끔하게 건물이 지어진 것이다.
# 선암사 해우소 이 아름답고 단아한 절집 해우소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문화재로 등록된 해우소이다. 문화재자료 제214호이다. 전라남도 순천시 조계산 선암사 경내에 있다. 이 해우소는 언제 지어졌는지는 정확하지 않으나, 1920년대 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 허물어져 가던 것을 원형 그대로 살려 근래에 복원을 하였다.
# 지리산 국사암 해우소
국사암 계곡 무지개 다리를 건너면 단아한 건물이 보인다. 처음에는 요사채쯤 되겠지 추측하였는데 알고 보니 해우소란다. 지리산의 깊은 수림과 계곡에 있어 공기가 맑기 그지 없다. 물소리 들으며 볼일을 보면 꿈을 꾸는 듯 아득하다. 다만 계곡에 바추 붙어 있어 조금은 불안해 보인다.
# 국사암 가는 오솔길 쌍계사에서 국사암 가는 이 길은 가을이 오면 붉은 단풍과 켜켜이 쌓인 낙엽으로 최고의 산책길이 된다. 계곡에 있는 해우소 만큼이나 이 길을 걷노라면 몸의 나쁜 기운이 모두 배설되는 느낌을 갖게 된다.
# 안동 병산서원의 머슴뒷간
서원 중에서 최고의 풍광을 자랑하는 곳이 병산서원이다. 서원 앞을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과 끝없이 펼쳐진 은빛 백사장, 붉게 물든 병산의 단풍과 기암괴석. 장쾌한 만대루에 올라 서면 이 모든 것이 한 눈에 들어온다. 서원 밖에 달팽이 모양으로 지어진 뒷간이 있다. 복례문을 지나 연못 한쪽에 있는 뒷간은 양반들의 차지이고, 서원 밖 이곳은 하인들이 사용했다하여 '머슴뒷간'으로 불리었다. 예전에는 풀섶으로 만들어져 있었는데, 몇 년 전 가 보니 흙담을 쌓은 지금의 모습으로 바뀌어 있었다.
# 병산서원 만대루 병풍같은 앞산과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을 바라볼 수 있는 만대루는 병산서원의 백미라 할 수 있다. 만대루(晩對樓)의 만대는 두보의 시<백제성루>에 나오는 "푸른 절벽은 오후 늦게 대할 만하니(翠屛宜晩對)" 에서 따온 말이다.
# 남해섬 앵강만 전망대의 배모양 화장실 앵강만이 한 눈에 들어오는 전망대에 있다.
육지 깊숙이 들어와 남해섬의 잘록한 허리에 있는 앵강만의 풍광은 가히 으뜸이다. 이 아름다운 앵강만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곳에 배모양의 화장실이 있다. 관광전략의 일환으로 보물섬으로 명명되는 남해섬, 포구를 드나드는 배의 모습인 이 화장실은 바다 풍경과 제법 어울린다. 돛도 달고 선창도 있으니 배 위에서 볼일을 보는 상상을 하면 속이 후련해진다.
벽련마을과 노도 김만중은 노도에서 산 3년 동안 '사씨남정기'와 '구운몽'을 지었다. 벽련마을의 다랭이논도 정겹다.
내변산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길, 직소폭포 가는 길이다. 실상사터 바로 앞에 있는 이 화장실은 주위 산세와 조화롭다. 멀리서 보기에는 무슨 팬션처럼 보였는데, 가까이서 보니 간이 화장실이었다. 통나무로 화장실을 만들고 안을 들여다 볼 수 없도록 나무 판자로 앞을 살짝 가로 막았다.
화장실 하나도 신경을 써서 만들면 보기에도 좋을 뿐더러 장차 훌륭한 우리의 자산이 될 것이다.
# 봄변산 직소폭포
남부지방의 대표적인 화장실로 글을 엮어 보았다. '변소'가 일제 시대 때 붙여진 용어이고, '화장실'이 서구의 영향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원래의 우리 이름으로 정착되기를 바라면서 소박한 글을 남긴다.
위 제주도 사진은 '제주민속촌박물관 송승욱 선생님'께서 제공해 주셨습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사진 파일을 보내주시고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신 송승욱선생님께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보다 많은 여행기와 스크랩은
Daum블로그 김천령의 바람흔적(http://blog.daum.net/jong5629)에서 하시면 됩니다.
'이야기가 있는 여행 > 테마가 있는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도의 대표작, 아름다운 무지개다리들 (19) | 2008.12.26 |
---|---|
매우 이색적인 지붕 여행 (15) | 2008.12.19 |
아주 독특한 나무들 보세요.(글이 사라져 새로 보냅니다) (8) | 2008.12.16 |
아주 독특한 나무들 보세요. (6) | 2008.12.16 |
우연히 찾은 오래된 경주 가을 사진 (17) | 2008.11.14 |
가을로 가는 지리산 암자 순례 15곳 (11) | 2008.09.22 |
소개하고 싶은 제주도 여행지 (19) | 2008.09.11 |
차를 이용하여 구름사진을 찍다 (27) | 2008.07.29 |
하늘에서 본 남해안 섬풍경 (11) | 2008.06.16 |
단양팔경 한 눈에 둘러 보기 (4) | 2008.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