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사에 머물다

어깨동무 불상과 온통 꽃밭인 지리산 연곡사

 

 

 

 

 

 

 

 

어깨동무 불상과 온통 꽃밭인 지리산 연곡사

 

지리산 연곡사. 지리산을 통틀어 가장 푸근한 곳인 듯싶다.

하동 평사리에서 화개를 지나 섬진강을 따라 연곡사 가는 길은 늘 그렇듯 애틋하다.

 

 

한때 폐허였던 절 마당에는 새로이 건물들이 들어섰다.

일주문이야 제법 오래전에 제 모습을 갖추었고,

텅 비어 고요만 가득했던 절 마당엔 화사한 꽃밭이 들어섰다.

우격다짐으로 이루어진 불사가 아님에 안도되어 가슴을 쓸어내린다.

불사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그 무지막지한 산중의 공사들에 그동안 얼마나 적잖이 실망했었던가.

 

 

연곡사는 기껍다. 몇 년 만에 찾았는데도 번다하지 않다.

혹시 하던 염려는 즐거운 마음으로 바뀐다.

 

 

산안개와 구름이 빚어내는 풍광과 새로 지은 이곳의 절 건물들은 오랜 동행처럼 잘 어울린다.

아직 세월의 더께는 충분하지 않지만 그 정도야 느긋하게 기다려줄 만하지 않은가.

 

 

낙엽은 졌으나 단풍은 붉다.

하얀 안개는 벌거벗은 산을 가린다.

 

 

행여 부끄러울세라 아주 천천히 내려오는 듯 내려오지 않는 듯 사뿐사뿐 산자락을 넘어온다.

그리고 천천히 절 마당으로 내려온다.

 

 

저 멀리 해우소까지 가볼 참이다.

거기에선 잠시 바지춤을 올려야 하지 않을까.

안개도 거기에서만큼은 딱 걸음을 멈춘다.

 

 

화엄. 이름 없는 허접한 꽃들의 축제.

스님과 보살 들이 가꾸었을 이 꽃밭도 화엄이다.

어깨동무를 한 두 불상은 새로 생긴 모양이다.

친구처럼 정겹다.

 

 

이 얼마나 친근한가.

근엄함을 버리니 부처가 곧 중생이요.

중생이 곧 부처이다.

 

 

국화로 장식한 절 마당은 푸근하다.

어떤 예배와 숭배보다 부처에 가까워지는 바로 여기가 불국토인 셈이다.

 

 

대웅전 옆 삼성각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독성, 산신, 칠성…

 

 

이곳에 서면 연곡사의 푸근한 형세가 한눈에 들어온다.

뜰을 둘러싼 대숲 너머로는 졸졸졸 계곡물 소리가 사방을 감싸 돈다.

 

 

이곳의 적막에 들어서면 자신의 본래면목을 볼 수 있다.

연곡사 삼성각은 그런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