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집 기행

옆으로 본 풍경, 만동묘




옆걸음만으로 겨우 오를 수 있는 만동묘
괴산여행⑭ - 대원군도 발길질 당했던 화양서원과 만동묘

충북을 대표하는 명승지 화양구곡이 유명한 것은 화양서원과 만동묘가 있었기 때문이다. 화양서원은 송시열을 제향한 서원이다. 숙종 15년인 1689년에 왕세자 책봉 문제로 송시열은 제주도로 유배되었다가 정읍에서 사약을 받고 죽었다. 숙종 20년인 1694년에 노론이 다시 실권을 쥐면서 송시열은 복권되고 2년 후 화양서원은 사액을 받았다.

 

송시열이 문묘에 배향된 당시 화양서원의 위세는 대단했었다. 나라에서의 막대한 지원은 물론이고 유생들이 기증한 토지를 강원도와 삼남지방에까지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이처럼 권력이 막강해지자 화양서원은 횡포의 온상이 되었다. 서원의 제수비용을 내라는 화양묵패를 보내어 고을 수령이든 백성이든 가리지 않고 재물을 함부로 갈취했으며 이에 따르지 않는 사람은 서원으로 잡아들여 사형을 가하였다. 흥선대원군도 집권하기 전 말을 타고 화양서원 앞을 지나다 유생들에게 발길질을 당했다는 일화가 있을 정도로 화양서원의 위세는 실로 대단하였다. 이와 같이 화양서원의 폐단이 심해지자 고종 8년인 1871년에 화양서원은 결국 철폐되었다.

 사당

화양서원 못지않게 기세등등했던 것이 만동묘다. 만동묘는 송시열의 유언에 따라 그의 문인 권상하 등이 숙종 30년인 1704년에 세운 사당이다. 임진왜란 때 우리나라에 원군을 보내어 도와준 명나라 신종과 마지막 황제인 의종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만동묘라는 이름은 중국의 강물이 도중에 만 번을 돌더라도 반드시 동쪽으로 흐른다는 뜻인 ‘만절필동’의 처음과 끝 자를 따서 지었다.

 증반청

만동묘는 화양서원 제일 뒤쪽에 건립되었다. 해마다 만동묘에 제사를 지낼 때는 전국의 유생 수천 명이 모여들었고 1년 내내 선비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이 또한 화양서원과 마찬가지로 폐단이 심해지자 고종 2년인 1865에 서울의 대보단에 명나라 황제들을 제사지내고 만동묘를 철폐시켰다. 그 후 재건과 폐철, 일본인에 의한 묘정비 훼손 등을 거듭하다 1940년 이후에는 건물도 모두 철거되었다.

 존사청과 풍천재

외삼문을 지나면 만동묘 오르는 계단이 나온다

그냥 보기에도 계단은 상당히 가팔라 보인다

실제 계단을 오르다보면 현기증이 날 정도로 위태하다. 경사도도 심하지만 계단의 폭은 생각보다 더 좁았다.

앞을 향한 채로 계단을 오르기는 도저히 무리였다. 신발을 벗어 계단에 걸쳐 보니 발뒤꿈치가 허공에 뜬다.

하는 수 없이 자세를 바꾸어 옆으로 계단을 올라야했다. 계단 폭이 꼭 발 폭만큼이다.

고개를 숙이고 옆으로 오르니 서원 일대와 산마저도 옆으로 보인다.

드디어 만동묘다. 이곳에 오면 만동묘에 이르는 계단이 왜 그렇게 가파르고 폭이 좁은 줄 알게 된다. 만동묘가 바로 임진왜란 때 우리나라에 원군을 보내준 신종과 마지막 황제였던 의종의 신위를 모신 사당이기 때문이다. 계단을 오르면서 몸가짐과 걸음을 조심하여 이들에 대한 공경의 극치를 보인 것이다. 오랑캐인 청을 배척하고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보인 송시열의 결의가 담긴 것이라 볼 수 있다. 그 뜻을 이해 못 하는 것은 아니나 왠지 씁쓸하다.

만동묘 묘정비. 일본인들이 글자 획을 쪼아 알아볼 수 없게 한 후 땅에 묻어버렸던 것을 1983년 홍수 때 찾아내어 옛 자리에 다시 세웠다.



김천령의 여행이야기에 공감하시면 구독+해 주세요

바람이 소리를 만나니 바람에 손을 씻다.  김천령  (http://blog.daum.net/jong5629) ▒

 * 이 포스트는 blogkorea [블코채널 : 김천령의 풍경이 있는 한국기행]에 링크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