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에 머물다

어깨동무 불상과 온통 꽃밭인 지리산 연곡사

김천령 2015. 12. 3. 13:35

 

 

 

 

 

 

 

 

어깨동무 불상과 온통 꽃밭인 지리산 연곡사

 

지리산 연곡사. 지리산을 통틀어 가장 푸근한 곳인 듯싶다.

하동 평사리에서 화개를 지나 섬진강을 따라 연곡사 가는 길은 늘 그렇듯 애틋하다.

 

 

한때 폐허였던 절 마당에는 새로이 건물들이 들어섰다.

일주문이야 제법 오래전에 제 모습을 갖추었고,

텅 비어 고요만 가득했던 절 마당엔 화사한 꽃밭이 들어섰다.

우격다짐으로 이루어진 불사가 아님에 안도되어 가슴을 쓸어내린다.

불사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그 무지막지한 산중의 공사들에 그동안 얼마나 적잖이 실망했었던가.

 

 

연곡사는 기껍다. 몇 년 만에 찾았는데도 번다하지 않다.

혹시 하던 염려는 즐거운 마음으로 바뀐다.

 

 

산안개와 구름이 빚어내는 풍광과 새로 지은 이곳의 절 건물들은 오랜 동행처럼 잘 어울린다.

아직 세월의 더께는 충분하지 않지만 그 정도야 느긋하게 기다려줄 만하지 않은가.

 

 

낙엽은 졌으나 단풍은 붉다.

하얀 안개는 벌거벗은 산을 가린다.

 

 

행여 부끄러울세라 아주 천천히 내려오는 듯 내려오지 않는 듯 사뿐사뿐 산자락을 넘어온다.

그리고 천천히 절 마당으로 내려온다.

 

 

저 멀리 해우소까지 가볼 참이다.

거기에선 잠시 바지춤을 올려야 하지 않을까.

안개도 거기에서만큼은 딱 걸음을 멈춘다.

 

 

화엄. 이름 없는 허접한 꽃들의 축제.

스님과 보살 들이 가꾸었을 이 꽃밭도 화엄이다.

어깨동무를 한 두 불상은 새로 생긴 모양이다.

친구처럼 정겹다.

 

 

이 얼마나 친근한가.

근엄함을 버리니 부처가 곧 중생이요.

중생이 곧 부처이다.

 

 

국화로 장식한 절 마당은 푸근하다.

어떤 예배와 숭배보다 부처에 가까워지는 바로 여기가 불국토인 셈이다.

 

 

대웅전 옆 삼성각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독성, 산신, 칠성…

 

 

이곳에 서면 연곡사의 푸근한 형세가 한눈에 들어온다.

뜰을 둘러싼 대숲 너머로는 졸졸졸 계곡물 소리가 사방을 감싸 돈다.

 

 

이곳의 적막에 들어서면 자신의 본래면목을 볼 수 있다.

연곡사 삼성각은 그런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