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사에 머물다

아이를 낳으려면 꼭 가야한다는 해동용궁사


 

아이를 낳으려면 꼭 가야한다는 바닷가 사찰 해동용궁사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창공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사랑도 벗어놓고 미움도 벗어놓고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용궁사 창건주 나옹선사의 시구 중에서


기장군의 해동 용궁사 초입에는 무학대사의 스승이자 공민왕의 왕사였던 창건주 나옹선사의 시구가 적힌 바위가 있다. 대개의 사찰이 산중에 있는 것과는 달리 용궁사는 바닷가에 있다.

 

검푸른 물결이 넘실대는 동해안의 최남단에 위치해 있는 용궁사는 동으로는 양양 낙산사와 홍련암, 남으로는 남해의 보리암과 여수의 향일암, 서로는 서산 간월암, 김제 망해사, 강화 보문사 등과 더불어 바다를 접한 사찰이다.

 

여행자는 이들 사찰들을 다 둘러보았다. 사실 용궁사를 진작 올 수 있었음에도 여태까지 미룬 건 사람들로 붐비리라는 막연한 거부감 때문이었다. 오늘에야 겨우 이곳을 찾게 되었다. 역시나 입구부터 사람들로 북적거렸다.

 

용궁사는 고려 말 우왕 2년인 1376년에 나옹선사 혜근이 창건하였다. 나옹선사가 경주 분황사에서 수도할 때 나라에 큰 가뭄이 들어 인심이 흉흉하였다. 하루는 꿈에 용왕이 나타나 봉래산 끝자락에 절을 짓고 기도하면 가뭄이나 바람으로 근심하는 일이 없고 나라가 태평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선사가 이곳에 와서 지세를 살펴보고 절을 지었다. 산 이름을 봉래산이라 하고 절 이름을 보문사라 이름 지었다 한다.

 
그 후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930년대 초 통도사 운강스님이 보문사를 중창하였다. 여러 스님을 지나 1974년에 정암스님이 관음도량으로 복원할 것을 발원하고 백일기도를 올리던 중 꿈에 흰옷을 입은 관음보살이 용을 타고 승천하는 것을 보았다 하여 절 이름을 해동용궁사로 바꾸었다고 한다.

 

경내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십이지신상을 지나야 한다. 한 중년 여인의 기도가 간절하다. 7층 석탑을 돌아 계단을 내려가니 불룩한 배를 내민 득남불이 이채롭다. ‘배를 만지면 아들을 낳는다.’는 득남불상의 코와 배는 사람들이 얼마나 만졌는지 손때가 묻어 반질반질할 정도였다.


지나가던 사람들이 걸음을 멈추었다. 마침 두 커플이 득남불 앞에 섰다. 그중 한 여자가 배를 만지자 모두들 까르륵 숨이 넘어간다. 지켜보고 있던 다른 여자가 배를 만지니 애인인 듯한 남자가 소리친다. “안 돼, 아직 결혼도 안 한 처녀가 아이 먼저 가지면 어떡하나?” 아가씨는 얼굴이 붉어졌고 길을 가던 주위 사람들이 박장대소하였다.

물끄러미 지켜보던 30대쯤의 사내가 한마디 거들었다. “왜 득남불만 있지. 득녀불은 없나?” 그러고 보니 득녀불은 없다. 남자는 예쁜 딸아이를 안고 있었다. 


용문석굴을 지나니 푸른 바다에 앉은 용궁사 경내가 한눈에 들어왔다. 서울 말씨를 쓰는 한 무리의 아가씨들이 감탄을 지른다. 바다를 자주 보지 못하는 이들로서는 멋진 풍경이었으리라. 아이들은 계단 수를 세느라 여념 없었다. 108계단이라고 했다. 


절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복전함이었다. 뭔 복전함이 그렇게 많은지. 기도로 영험이 있다 하여 입시철뿐만 아니라 소원 성취를 위해 많은 이들이 이곳을 찾는다고 한다. 모를 일이다.

 

네 마리의 사자 위에 올린 사사자 삼층석탑이 푸른 바다와 맞물려있다. 마치 불심을 가득 실은 조각배가 넓은 바다로 향하는 듯하다. 원래 이 자리에는 미륵바위가 있었는데 파괴된 후 정암스님이 1990년에 파석을 모으고 손상된 암벽을 보축하여 이 석탑을 세우고 스리랑카에서 가져온 불사리 7과를 봉안하였다고 한다.


활짝 웃고 있는 거대한 미륵불은 사진 찍는 이들의 차지다. 동남아에서 온 듯한 연인이 사진에 열중이다. 미륵불의 웃음만큼이나 그들도 행복한 웃음을 짓고 있었다.

 

해수관음상은 경내의 제일 위쪽에 있다. 이곳에 오르면 용궁사 일대를 한눈에 볼 수 있다. 높이 10여 미터인 해수관음상은 기도하는 이들로 빈틈이 없다. 여행자도 이곳에서 기도하는 대신 지그시 눈을 감았다.


곳곳에 있는 복전함에 지칠 즈음 지하의 약수터가 보였다. 층계를 조심스레 내려가니 암반에서 솟아나는 물맛이 달콤했다. 다시 해안을 따라 일출바위로 향했다. 바위 끝에 지장보살상이 있었다. 이곳에서 보면 용궁사의 전경이 다 보인다.



 

‘사노라면 언젠가는 좋은 날도 오겠지~~ 궂은 날도 날이 새면 해가 뜨지 않던가~~.’ 누군가 노래를 흥얼거렸다. 바윗면에 새겨진 노래였다. 하나둘 같이 부르기 시작하더니 어느새 주위의 사람들이 다 같이 불렀다.


김천령의 여행이야기에 공감하시면 구독+해 주세요
▒ 김천령의 지역별 여행지 보기  (http://blog.daum.net/jong5629) ▒
 * 이 포스트는 blogkorea
[블코채널 : 김천령의 풍경이 있는 한국기행]에 링크 되어있습니다